블로그

  • Install Ruby using RVM

    Homebrew 통해 OpenSSL 설치시 아래와 같은 옵션을 추가해야 한다.
    
    rvm use 2.6.3 --with-openssl-dir=/usr/local/opt/openssl
  • Leaf Crashed…

    1. 한 번 크래시가 생기기 시작하면 계속 생긴다.
    2. 포기하고 안 쓰고 있다가 도저히 안 돼서 결국 Rocky Sand Studio에 문의했다.
    3. Reset 하라는 답변이 왔다.
    4. 설정을 백업하지 않아 곤란하다고 했다.
    5. 드디어 원하던(은 아니지만 그래도 설정을 날리진 않았으니) 답변이 왔다.

    Step 1. Uninstall Leaf.app.
    Step 2. Execute the command, “defaults delete com.rockysandstudio.Leaf” in Terminal.app.
    Step 3. Reinstall Leaf.app from App Store.

    잘 된다. 이렇게 간단한 방법이 있었다니… 진작 알았음 좋았잖아요!

  • Rails에서 외부로 HTTPS 접속시 에러

    export SSL_CERT_FILE=/usr/local/etc/openssl/cert.pem

    위 설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 Homebrew로 MySQL 5.6 설치하기 외

    1. Install MySQL

    brew install mysql

    mysql.server start

    unset TMPDIR
    mysql_install_db –verbose –user=`whoami` –basedir=”$(brew –prefix mysql)” –datadir=/usr/local/var/mysql –tmpdir=/tmp

    mysql_secure_installation

    2. Install puma GEM

    brew install openssl
    brew link –force openssl

  • MacPort로 MySQL 5.6.x 설치하기

    # sudo port install mysql56-server
    # sudo port select mysql mysql56
    # sudo -u _mysql /opt/local/lib/mysql56/bin/mysql_install_db
    # sudo chown -R _mysql:_mysql /opt/local/var/db/mysql56/
    # sudo chown -R _mysql:_mysql /opt/local/var/run/mysql56/
    # sudo chown -R _mysql:_mysql /opt/local/var/log/mysql56/
    # sudo port load mysql56-server
    # reboot
    # /opt/local/lib/mysql56/bin/mysqladmin -u root password ‘암호넣기’
    아래는 sequalpro 등의 툴에서 소켓 연결하기 위한 설정
    # ln -s /opt/local/var/run/mysql56/mysqld.sock /tmp/mysql.sock
    아래는 rails에서 mysql2가 mysql56과 연결될 수 있도록 추가한 설정
    # bundle config build.mysql –with-mysql-config=/opt/local/lib/mysql56/bin/mysql_config
  • Docker 삭제하기

    $ sudo rm /usr/local/share/boot2docker/boot2docker.iso

    $ sudo rmdir /usr/local/share/boot2docker

    $ rm -rf ~/.boot2docker

    $ rm ~/.ssh/id_boot2docker*

    $ sudo rm -f /private/var/db/receipts/io.boot2docker.*

    $ sudo rm -f /private/var/db/receipts/io.boot2dockeriso.*

  • Zimbra migration from 7 to 8 + 32 bit to 64 bit server

    아, 내가 하려고 하던 것과 거의 일치하는 블로그다.

    한 번 해봐야겠네~

    Zimbra migration from 7 to 8 + 32 bit to 64 bit server

  • Mountain Lion에서 MySQL Server 삭제

    인터넷에서 찾은 맥에서 MySQL 서버 삭제하는 방법이다.

    sudo rm /usr/local/mysql
    sudo rm -rf /usr/local/mysql*
    sudo rm -rf /Library/StartupItems/MySQLCOM
    sudo rm -rf /Library/PreferencePanes/My*
    rm -rf ~/Library/PreferencePanes/My*
    sudo rm -rf /Library/Receipts/mysql*
    sudo rm -rf /Library/Receipts/MySQL*
    sudo rm -rf /var/db/receipts/com.mysql.*
    sudo vi /etc/hostconfig # and remove the line MYSQLCOM=-YES-

    생각보다 매우 번거롭다. 언인스톨 기능 좀 넣어주면 어디 덧나나…

  • 비밀번호 없이 SSH로 접속하기

    보통은 ssh로 서버 접속할 때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한다.

    그런데 크론 같은 걸 써야 할 때 인증이 걸림돌이 될 때가 있다.

    이때 이 방법을 활용하면 쉽게 해결된다.

    단, 확실한 상황에서만 사용하자. 자칫 보안이 뚫리면 재앙이다!

    ssh-keygen

    ssh-copy-id -i ~/.ssh/id_rsa.pub [대상서버주소]

    자~ 이제 ssh를 날려보자!

  • Tomcat7 on Ubuntu

    우분투에서 tomcat7을 수동으로 설치하든 apt-get으로 설치하든 포트를 1024 이하의 것을 사용하게 되면 보안에 걸려 실행되지 않는다.

    이를 회피하는 정상적인 방법을 찾았는데 아래 사이트에서 정보를 볼 수 있다. 요지는 authbind를 이용하면 된다는 것인데 자세한 내용은 참고하도록 하자.

    http://case.bradysoftware.com/blog/2012/03/14/1331779080000.html

    요약하면 /etc/default/tomcat7에서 AUTHBIND=yes 해주고

    touch /etc/authbind/byport/80
    touch /etc/authbind/byport/443
    chmod 0755 /etc/authbind/byport/80
    chmod 0755 /etc/authbind/byport/443
    chown tomcat7:tomcat7 /etc/authbind/byport/80
    chown tomcat7:tomcat7 /etc/authbind/byport/443

    이런 내용만 잘 처리해준 다음 재기동해주면 된다는 거다.

    아주 좋다.